본문 바로가기

슈퍼세포

세계 첫 iPS세포 치료 실현되나 DMD/BMD와는 관련이 없지만 ips세포에 관한 희소식인가봐요. 노인황반변성 치료 위한 안전성 확인 목표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 인공다능성줄기세포(iPS세포)를 이용한 최초의 치료계획이 오는 9월 일본에서 신청될 전망이다. 일본 이화학연구소 발생·재생과학종합연구센터 연구팀은 iPS세포로부터 제작한 망막의 세포를 이용해 노인황반변성이라는 안과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안전성을 확인하는 임상연구를 오는 9월 후생노동성에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 중반에 실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iPS세포를 이용한 세계 첫 치료가 될 전망이다. 노인황반변성은 나이가 들면서 망막의 일부에 장애가 생기고 시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질환으로, 일본에서만 환자 수가 69만명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환자의 피부세포로부터 i.. 더보기
What_Are_IPS_Cells.pdf 짧은 내용으로 설명이 들어있습니다. 영문이라 ㅎㅎ 저도 조금 보다가 그냥 번역기 돌려 봤네요. 관심있으신분은 다운로드해서 보세요^^ 더보기
iPS 세포 기술, 미국서 특허 획득 기사입력 [2011-08-12 15:03] [아시아투데이=조은주 기자]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개발한 iPS세포(신형만능세포) 유전자 기술이 미국에서 특허를 획득했다. 아사히신문의 11일 보도에 따르면 교토대는 이날 야마나카 교수가 개발한 iPS 세포를 만드는 유전자 기술에 관한 특허가 미국에서 성립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iPS 유전자 관련 특허가 성립된 나라는 일본을 포함한 5개국, 2지역으로 늘었으며 아사히신문은 "세계 최대의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특허가 성립된 만큼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이에 대해 "선행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크로스 라이센스 협상에 유리할 뿐 아니라 국내 응용 연구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등록된 특허는 유전자.. 더보기
iPS 세포의 면역원성 Nature 474 (7350) | doi:10.1038/nature10135 게시 : 11년6월9일 완전히 분화된 성체 세포를 재프로그램화 하여 만들어지는 iPS(Induced pluripotent stemm) 세포는 배아와 유사한 유전자 발현 특성을 보이며, 치료 분야에도 중요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iPS 세포를 이용하는 치료법의 장점은 이러한 세포들이 환자 자신에게서 유래했기 때문에 면역 거부반응이 없다는 것이다. 최근 실험을 통해서 레트로바이러스 또는 지놈에 삽입되지 않는 에피솜 방식으로 만들어진 iPS가 생쥐에게 이식되면, iPS 세포로부터 유래한 테라토마 세포는 면역 시스템에 의해서 제거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iPS 세포로부터 분화한 일부 세포의 변화된 유전자 발.. 더보기